DDL 문

  • Data Definition Language
  • 데이터 구조의 생성(CREATE), 변경(ALTER), 제거(DROP) 명령 언어

CREATE 문

  • 테이블을 구성하고, 속성과 속성에 관한 제약 그리고 기본키(PK) 및 외래키(FK)를 정의하는 명령어

형식


CREATE TABLE [테이블이름] (
 [속성이름] [데이터타입] (NULL | NOT NULL | UNIQUE | DEFAULT 기본값 | CHECK 체크조건)
(PRIMARY KEY 속성이름(들))
(FOREIGN KEY 속성이름 REFERENCES 참조테이블이름(참조속성이름))
(ON DELETE (CASCADE | SET NULL))
)

예제


CREATE TABLE EMPLOYEE (
    E_ID VARCHAR2(30 Byte) PRIMARY KEY, -- 기본키(PK) 설정한다.
    E_NAME VARCHAR2(20 Byte) NOT NULL, -- NULL을 허용하지 않는다.
    E_DEPT_CODE NUMBER,
    DEL_YN CHAR(1 Byte) NOT NULL DEFAULT 'N', -- NULL을 허용하지 않으며 기본값을 'N'으로 한다.
    REG_TS DATE NOT NULL DEFAULT SYSDATE -- NULL을 허용하지 않으며 기본값을 시스템시간으로 한다.
    FOREIGN KEY E_DEPT_CODE REFERENCES DEPT_INFO(DEPT_CODE)
    -- 외래키 설정 E_DEPT_CODE 컬럼이 DEPT_INFO 테이블의 DEPT_CODE 컬럼 참조한다.
)

열거 타입(Enumeration Type)

  • 한정된 값만을 갖는 데이터 타입이다.

열거 타입 선언

  • 열거 타입의 이름을 정하고 열거 타입 이름으로 소스 파일(.java)을 생성해야 한다.
  • 열거 타입 이름은 관례적으로 첫 문자를 대문자로하고 나머지는 소문자로 구성한다.
  • 만약 여러 단어로 구성된 이름일 경우 각 단어의 첫 문자는 대문자로 작성하는 것이 관례이다.
  • 예) Week.java, MemberLevel.java
  • 형식
  • 
    public enum 열거타입이름 {
    	(열거 상수 선언)
    }
    
    
    
  • 열거 상수는 열거 타임의 값으로 사용되며 관례적으로 모두 대문자로 작성한다.
  • 만약 열거 상수가 여러 단어로 구성될 경우 단어 사이를 밑줄(_)로 연결한다.
  • 
    public enum Month {
    	JANUARY,
    	FEBRUARY,
    	MARCH,
    	APRIL,
    	MAY,
    	JUNE,
    	JULY,
    	.
    	.
    }
    
    
    
  • 열거 상수는 열거 객체로 생성된다. 해당 열거 타입의 열거 상수 개수만큼 객체가 열거 타입 객체가 생성된다.
  • 열거 타입 Month의 경우 JANUARY부터 DECEMBER까지 12개의 열거 상수는 힙 영역에 Month 객체로 생성된다.
  • 그리고 메소드 영역에 생성된 열거 상수가 해당 해당 Month 객체를 각각 참조한다.


열거 타입 변수

  • 열거 타입을 선언했다면 열거 타입은 하나의 데이터 타입이므로 변수를 선언하고 사용한다.
  • 형식
  • 열거타입 변수;
  • 
    Month thisMonth;
    Month birthMonth;
    
    
  • 열거 타입 변수를 선언 후 열거 상수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열거 상수는 반드시 열거타입.열거상수로 사용된다.
  • 열거 타입 변수는 null 값도 저장할 수 있다.
  • 형식
  • 열거타입 변수 = 열거타입.열거상수;
  • 
    Month thisMonth = Month.JUNE;
    
    
  • 열거 타입 변수 thisMonth는 스택 영역에 생성된다.
  • thisMonth에 저장되는 값은 Month.JUNE 열거 상수가 참조하는 객체의 번지이다.
  • 즉, 열거 상수 Month.JUNE와 thisMonth 변수는 서로 같은 Month 객체를 참조하게 된다.
  • 그러므로 thisMonth == Month.JUNE 상수의 비교 결과는 true가 된다.

열거 객체의 메소드

  • 열거 객체는 열거 상수의 문자열을 내부 데이터로 가지고 있다.
  • 열거 객체의 메소드들은 java.lang.Enum 클래스에 선언된 메소드인데, 모든 열거 타입은 컴파일 시에 Enum 클래스를 상속하게 되어 있어 열거 객체에서 해당 메소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리턴 타입

메소드(매개 변수)

설명

String

name()

열거 객체의 문자열을 리턴

int

ordinal()

열거 객체의 순번(0부터 시작) 리턴

int

compareTo()

열거 객체를 비교해서 순번 차이를 리턴

열거 타입

valueOf(String name)

주어진 문자열의 열거 객체를 리턴

열거 배열

values()

모든 열거 객체들을 배열로 리턴


  • name()
    • 열거 객체가 가지고 있는 문자열을 리턴한다.
    • 리턴되는 문자열은 열거 타입을 정의할 때 사용한 상수 이름과 동일하다.
    • 예)
    • 
      Month thisMonth = Month.JUNE;
      String month = thisMonth.name(); // month = "JUNE"
      
      
  • ordinal()
    • ordinal() 메소드는 전체 열거 객체 중 몇 번째 열거 객체인지 알려준다.
    • 열거 객체의 순번은 열거 객체 타입을 정의할 때 주어진 순번이며 0번부터 시작한다.
    • 예)
    • 
      Month thisMonth = Month.JUNE;
      int ordinal = thisMonth.ordinal(); // ordinal = 5
      
      
  • compareTo()
    • 매개값으로 주어진 열거 객체를 기준으로 전후로 몇 번째 위치하는지를 비교한다.
    • 열거 객체가 매개값의 열거 객체보다 순번이 빠르다면 음수, 순번이 늦다면 양수가 리턴된다.
    • 예)
    • 
      Month month1 = Month.JUNE;
      Month month2 = Month.MARCH;
      int result1 = month2.compareTo(month1); // -3
      int result2 = month1.compareTo(month2); // 3
      
      
  • valueOf()
    • 매개값으로 주어지는 문자열과 동일한 문자열을 가지는 열거 객체를 리턴한다.
    • 이 메소드는 외부로부터 문자열을 입력 받아 열거 객체로 변환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 예)
    • 
      Month thisMonth = Month.valueOf("JUNE");
      
      
  • values()
    • 열거 타입의 모든 열거 객체들을 배열로 만들어 리턴한다.
    • 예)
    • 
      Month[] months = Month.values();
      for(Month month : months) {
      	System.out.println(month); // JANUARY, FEBRUARY, … DECEMBER
      }
      
      


웹 애플리케이션

  • 웹을 기반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 웹 프로그래밍을 한다는 것은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웹 애플리케이션 동작 원리

  • 클라이언트(사용자, 웹 브라우저)가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서버가 해당 요청에 대해 응답하는 것이 기본 동작이다.
  • 보통 클라이언트는 크롬, 익스플로러 등의 웹 브라우저를 지칭한다.
  •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하는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인터넷 서핑 등을 할 때, 실제로는 웹 브라우저가 지속적으로 해당 웹 페이지의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받는 과정이 일어난다.
  • 즉, 사용자와 웹 브라우저는 클라이언트가 되어 서버에 서비스를 요청하고, 서버는 해당 요청에 대해 응답하여 서비스를 제공해주고 웹 브라우저 화면에 결과를 출력하는 것이 웹 애플리케이션 동작 원리이다.
  • 서버 측에서는 웹 서버가 최초의 요청과 최종적인 응답을 담당한다.
  • 먼저 웹 서버가 요청을 받으면 WAS서버(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Web Application Server)에서 다양한 로직이나 데이터베이스와의 연동을 통해서 완성된 결과물만 응답한다.
  • WAS 서버는 데이터베이스 연동이 필요할 경우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연동하여 데이터를 가져와 처리한다.



웹 애플리케이션 구성 요소

구성 요소 설명

웹 브라우저

  • 사용자(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웹 서버의 결과를 화면에 출력해 보여주는 애플리케이션이다.

웹 서버

  • 웹 브라우저의 요청을 받아 들여서 이에 알맞은 결과를 웹 브라우저에 응답해 주는 역할을 한다.
  • 정적인 페이지를 처리를 담당한다.
  • 요청에 필요한 페이지의 로직이나 데이터베이스와의 연동을 위해서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이들의 처리를 요청한다
  • 대표적인 웹 서버의 종류로는 아파치(Apache)와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가 있다.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WAS, Web Application Server)

  • 요청한 페이지의 로직이나 데이터베이스와의 연동을 처리하는 부분이다.
  • 동적인 페이지 처리를 담당한다.
  • 대표적인 WAS로는 아파치 톰캣(Tomcat), BEA사의 웹로직(WebLogic), IBM의 웹스파이어(WebSphere), SUN사의 iPlanet, Oracle 9iAS, 국산으로는 제우스(jeus) 등이 있다.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는 곳이다.
  • 웹 서버는 동적인 컨텐츠 생성, 서버 상에 데이터 저장을 하지 못한다.
  •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도우미 애플리케이션이 필요하다.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 10계명  (842) 2015.06.09

본 내용은 2가지 책의 내용을 요약한 것입니다. 참고하세요





  


"특히 프로젝트가 서쪽으로 간 까닭은" 은 꼭한번 읽어보시라고 권해드립니다.


  • 리더가 당신에게 무엇을 하고 있는지 묻기 전에 어떤 일을 하고 있는지 먼저 말해 주는 것에 주저하면 안됩니다. 자주 피드백 합시다.
  • 모형, 프로토타입, 스토리보드를 고객에게 미리 제공하여 고객이 원하는 바를 조기에 파악해야 합니다. - 밀짚 인형 기법
  • 업무에 우선 순위를 매긴 후 최고 속력으로 처리가 가능한 만큼만 진행 합니다.
  • 특정 분야에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 10년 법칙 1만 시간의 노력이 필요 합니다.
  • 기술적 숙련도에 도움이 되는 수요조사
    • 직원 공모 또는 취업 사이트를 분석하면 유망한 기술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 해외 외주 사이트를 분석하면 유망 기술 동향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 oDesk
  • 업무와 관련된 잡지를 정기 구독 합니다. - 마이크로소프트웨어
    • 과 월호를 찾아봅니다. 정독합시다.
    • 뉴스, 특집기사 등을 주의해서 봅니다.
  • 자신의 업무에 익숙해지기 위한 반복 학습을 실행 합니다.
  • 정상을 바라보고 프로젝트 목표를 설정합니다.
  • 적정한 기간 내에 출시 할 결과물을 계획합니다.
  • 모니터를 여러 대 추가하고, 모니터의 적당한 높이 조절을 통하여 생산성을 향상시켜보도록 합니다.
  • 인체 공학적인 마우스를 이용합니다.
  • 다육이 화분을 책상 주변에 배치 합니다. - 공기 정화
  • 좋아하는 글귀와 명언을 출력하여 붙여 놓습니다.
  • 감탄을 잘합시다. - 리 액션
  • 단위 시간당 더 많은 깨달음의 순간을 경험하도록 통찰력을 키우도록 합니다.
  • 내가 할 일에 대한 목록을 정리 합니다.
    • 우선순위를 수시로 변경하도록 합니다.
    • 중요도 순으로 정리합니다.
  • 자신이 사랑하는 일을 합니다
    • 행복을 찾아라
    • 배울 수 있는 건 뭐든 배워라
    • 새로운 것을 시도하고 옛 것을 지켜라
    • 최고의 사람과 함께
    • 조언자를 찾아라
    • 자기 팀, 회사, 분야에 보답하라
    • 글쓰기, 코딩을 꾸준히 연습하라, 동료의 일 조언
    • 좋은 책을 많이 읽어라
  • 개발자로서의 첫 5년이 가장 큰 가르침을 얻는 시기입니다.
    • 한 팀의 일원으로 일하고, 동료와 정보 기술, 자산(문서, 코드, 프레젠테이션)의 공유 방법을 익힙니다.
  • 중요한 스킬을 익힙니다.
    • 4가지 이상의 언어 및 방법론
    • 람다식, 클로저등 함수형 언어 익히기
    • Jpeg. Xml, Text, Json
    • 동시에 천 명 이상 접속 가능한 서버 기술
    • 여러 명의 개발자와의 팀워크 경험
    • 다른 사람의 소스코드 분석 노하우
    • 다국어 지원 방법
  • 도메인 특성에 집중 합니다.
    • 트랜드 기술 보다 통신, 이미지 처리, 데이터베이스, 그래픽스, 알고리즘 등 기본적인 기술 원칙에 치중
  • 메이븐이 됩시다.
    • 특정 분야에 대해 방대한 지식을 갖추고 있으면서, 그 정보를 널리 공유하는 사람
  • 온라인 멘토가 됩시다.
    • 메신저, 화상 회의 등의 방법으로 정보 공유
    • 지속적인 노하우의 제공
    • 블로그, SNS의 적절한 활용
  • 비밀실험, 전혀 다른 프로젝트를 경험해봅니다.
  • 스스로 특허를 발굴 해보기
  • 전문지에 기고할 글, 백서, 기술 문서 쓰기
  • 논문 쓰기
  • 부하직원의 양성, 차세대 리더의 양성
  • 자신이 개발한 기술에 대한 유튜브 동영상을 제작하여 쇼 케이스 만들기
  • 다양한 업무 역량 배우기
    • 계획
    • 설계 기법
    • 프로그래밍
    • 디버깅
    • 테스팅
    • 공학
  • 업무 외 역량 익히기
    • 강연 능력
    • 조직 예절
    • 협상력
    • 멘토링
    • 팀워크
    • 의사 소통
    • 관리 방법
    • 리더쉽
  • Assertion의 활용
    •  논리 흐름상 반드시 만족해야 하는 과정을 코드에 넣는 것
  • 사분면 기법을 통한 업무의 관리
    • 한 축 : 급한 일 / 급하지 않은 일
    • 한 축 : 중요한 일 / 중요하지 않은 일
    • 중요성 축, 긴급성 축으로 구성
  • 감성지능의 키우기
    • 미소, 인간미, 지지 기반
    • 화를 내는 빈도를 줄입시다.
    • 객관적인 시선
    • 팀의 최선, 온화, 자기 계발
    • 긍정적인 정서
  • 소통 하기
    • 모임, 학회 참석
    • 커뮤니티 활동
  • 다른 사람들에게 대가를 바라지 않는 호의를 베풀기
  • 때론 업무 시간의 빈둥거림도 필요합니다.
    • 뉴스, 웹 서핑, 재테크
    • 게임, 안부 묻기
    • 휴식, 산책
  • IT 관련 동향 따라가기
    • Techmeme
    • Hacker News
    • Reddit Programming
    • 블로터
  • 다른 사람과 협업 하는 것은 그 노력에 숨어있는 집단지성을 증가시킵니다.
  • 팀의 상호작용과 협업을 위한 요소
    • 겸손 : 열려 있어야 한다.
    • 존중 : 능력과 업적에 감사
    • 신뢰 : 믿음
  • 실패의 경험이 없다면 충분히 혁신적인 사람이 되지 못하거나 위험을 감수하려고 하지 않게 됩니다.
  • 나의 실패를 문서로 만들자
    • 포스트모텀(Postmortem)
    • 회고록 작성
      • 요약
      • 현상의 발견
      • 원인
      • 평가
      • 문제의 해결을 위한 활동
      • 재발방지 기법
      • 배운 점
  • 당신의 약점을 드러내면 드러낼수록 당신은 더 강해집니다.
  • 당신의 팀이 가치 있고 지켜야 하는 문화를 가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 업무 외의 자신을 힐링하기 위한 악기를 하나 배워보도록 합시다.

출처: 개발자 자기계발 및 실력향상 노하우, http://futurewavedev.tistory.com/7


'프로그래밍 >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OAuth 2.0 정리  (1212) 2021.04.28
[macOS, 맥OS] jEnv로 자바 환경 세팅  (1224) 2020.06.27
글을 안 올리는 이유(변명!?)  (497) 2017.06.14

배열

  • 정의: 같은 타입의데이터를 메모리상에 연속적으로 나열시키고, 각 데이터에 인덱스(index)를 부여해 놓은 자료 구조
  • 인덱스: 첨자값, [](대괄호) 사용
  • 배열은 참조 타입에 속한다.

배열의 선언


/* 대괄호의 위치 차이 */
int[] intArray; // 타입[] 변수(배열명);
int intArray[]; // 타입 변수(배열명)[];

/* null로 초기화 */
String[] stringArray = null;

/* 값 목록을 가진 배열 생성 */
String[] names = { "홍길동", "전지현", "설현", "수지" };
int[] scores = { 80, 90, 95, 99 };

/* new 연산자로 바로 배열 객체 생성 */
double[] doubleArray = new double[5]; // 배열의 길이를 지정한다. (이 때 인덱스는 0~4)

/* 컴파일 에러 */
String[] names = null;
// names = { "홍길동", "전지현", "설현", "수지 }; -> 배열 변수 선언 후 중괄호를 사용한 배열 생성은 에러 발생
names = new String[] { "홍길동", "전지현", "설현", "수지 };


  • 중괄호{}는 주어진 값들을 가진 배열 객체를 힙(heap) 메모리 영역에 생성하고, 배열 객체의 번지(주소)를 리턴한다.
  • 배열 변수는 리턴된 번지를 저장하여 참조한다.
  • 위의 예에서 "홍길동"은 names[0] "전지현"은 names[1], 80은 scores[0] 이다.

배열의 값 바꾸기


String[] names = { "홍길동", "전지현", "설현", "수지" };
System.out.println("names[0] > " + names[0]); // 홍길동
names[0] = "에일리";
System.out.println("names[0] > " + names[0]); //에일리

  • 배열의 값 바꾸기는 = (대입 연산자)를 사용한다.

배열 길이

  • 배열의 길이: 배열에 저장할 수 있는 전체 항목 수를 말한다.
  • 배열 객체의 length 필드(field)를 읽어야 한다.
  • 필드(field): 객체 내부의 데이터
  • 배열의 마지막 요소의 인덱스는 배열 길이-1이다.

int[]  intArray = {100, 200, 300};
int len = intArray.length;
System.out.println("배열 intArray의 길이는 > " + len);

참조 타입(reference type)

  • 참조 타입의 종류: 배열, 열거, 클래스, 인터페이스

  • 참조 타입 변수는 스택(stack) 영역에 생성되어 힙(heap) 메모리 영역의 번지(주소)를 값으로 갖는다.

  • 주소를 통해 객체를 참조한다는 뜻에서 참조 타입이라고 부른다.

참조 변수의 ==, != 연산

  • 참조 타입 변수들 간의 ==, != 연산은 동일한 객체를 참조하는지, 다른 객체를 참조하는지 알아볼 때 사용된다.

  • 서로 다른 객체를 참조하는 참조 타입 변수들간의 비교는 기본 타입과 다른 결과를 나타낸다.

  • 예)

int x = 3;
int y = 3;
String hello = new String("안녕하세요");
String hi = new String("안녕하세요");

if ( hello == hi ) {
    System.out.println("안녕하세요.");
} else if ( hello != hi) {
    System.out.println("안녕 못해요.");
}

if (x == y) {
   System.out.println("X와 y는 같습니다.");
} else if ( x != y) {
   System.out.println("x와 y는 다릅니다.");
}
  • 출력
  • 안녕 못해요.
    x와 y는 같습니다.
    

참조 타입 변수의 null

  • 참조 타입 변수가 null 값을 가질 경우 참조할 객체가 없으므로 객체는 힙 메모리 영역에 생성되지 않고, 변수만 스택 영역에서 생성되어 null 값을 가진다.
  • 따라서, null 값을 가진 참조 타입 변수의 ==, != 연산은 기본 타입과 동일하다.
  • 참조 타입 변수가 null 값을 가진 상황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혹은 프로그램 실행 중 참조 타입 변수가 null 값을 가질 경우) NullPointerException 예외가 발생한다.

String 타입

  • 문자열을 저장하는 참조 타입

  • 자바에서 String은 문자열 리터럴이 동일할 경우 객체를 공유하도록 되어 있다. (new 연산자로 새로운 객체를 생성하지 않고 = 대입 연산자로 같은 문자열을 저장할 경우)

  • String 객체의 equals() 메소드를 사용해서 객체에 상관없이 문자열을 비교할 수 있다.

  • 형식

    String x; // 기본값은 null
    x = "hello"; // 선언한 x에 문자열 값을 대입, " " (쌍따옴표) 사용
    String  y = "hello"; // 선언과 동시에 문자열 저장 x == y 는 true
    String  z = new String("hello"); // 새로운 객체 생성, y == z 는 false
    if ( y.equals(z) ) {
       System.out.println("true"); // true 출력
    }



Structured Query Language(SQL)이란?

  • 구조적 쿼리 언어로 데이터베이스에 질의(쿼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 SQL을 이용해 단순한 쿼리뿐만 아니라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거나 제거하고, 데이터베이스 내에 테이블을 삽입, 갱신, 삭제하거나 다양한 운영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 SQL은 1974년 IBM 연구소에서 발표한 SEQUEL(structured English Query Language)에서 유래한 것으로, 실험적 관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인 SYSTEM R의 인터페이스로 설계 구현하였으나 현재 사용중인 DBMS인 DB2와 SQL?DS의 데이터 언어로 사용되고 있다.
  • SQL은 IBM뿐만 아니라 다른 DB에서도 채택하여 SQL을 지원하는 많은 관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서 사용하고 있다. 현재의 표준인 SQL은 1992년 개정된 것으로 SQL/92 또는 SQL-92, SQL2로 불린다.

SQL 언어의 특징

  • 관계 대수와 관계해석을 기초로 한 고급 데이터 언어
  •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표현
  • 대화식 질의어로 사용 가능
  • 데이터 정의, 데이터 조작, 제어기능 제공
  • COBOL, C, PASCAL 등의 언어에 삽입
  • 레코드 집합 단위로 처리
  • 비절차적언어

SQL의 주요 기능

  • data 정의: 저장 데이터의 구조와 데이터 항목들간의 관련성을 정의
  • data 검색: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
  • data 조작: 데이터를 삽입, 삭제, 수정
  • 접근 제어: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의 사용을 제한
  • data 공유: 동시 사용자들의 사용을 허용/방지
  • 대화식 질의
  • data에 대한 다중 뷰 제공
  • 동적 data 정의

테이블(table)과 뷰(view)

  • SQL은 기본적으로 릴레이션(relation:관계) 즉 테이블을 대상으로 수행되며 테이블에는 기본 테이블(base table)과 뷰(view)가 있다.
  • 기본 테이블은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과정이나 응용 프로그램을 위해 작성하는데 반해, 뷰는 독자적으로 만들어지지 못하고 특정 기본 테이블로 부터 유도되어 만들어 지는 가상 테이블이다. 일반적으로 테이블이라함은 기본 테이블을 의미한다.

PL/SQL과 SQL*Plus

  • PL/SQL이란? : SQL에 Application Logic을 추가하여 확장한 oracle의 절차적인 언어(Procedural Language)를 의미함
  • SQL*Plus이란? : SQL 및 PL/SQL 문장을 인식하고 실행시켜주는 Oracle Tool, 사용자와 물리적 Database 간의 Interface를 담당하는 도구, 즉, DBMS와 user간의 통신수단임

구분

특징

SQL

• 프로그래밍 경험이 적거나 전혀 없는 사용자들도 사용

• 비 절차적 언어

• 시스템을 생성하고 유지 관리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을 절약

• 영어와 유사한 언어

PL/SQL

• SQL 데이터 조작과 질의 명령문은 절차적인 code 단위 안에 포함

• error 처리 가능 이식성

• 데이터 캡슐화, 정보 숨김, 객체지향 같은 현대적 소프트웨어 엔제니어링 기능을 제공하여Oracle server와 Tool set에 대한 최신식의 프로그래밍을 가는케함

SQL*Plus

• 파일로부터 SQL 입력을 받음

• SQL 문장을 수정하기 위한 line 편집을 제공

• 환경적인 설정을 제어

• 질의 결과를 기본적인 레포트 형태로 format

• Local과 Remote DATABASE를 access


SQL 문장 종류

QUERY

=DQL(Data Query Language)

• DB에서 원하는 데이터의 검색

SELECT

DDL

(Data Definition Language)

• 데이터 구조의 생성, 변경, 제거

CREATE

DROP

ALTER

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

• 테이블에 새로운 행의 삽입, 삭제, 수정

• 데이터베이스 객체 이름 변경

• 데이터 및 저장공간 회수

INSERT

DELETE

UPDATE

RENAME

TRUNCATE

DCL

(Data Control Language)

• DB와 구조에서 접근 권한의 부여와 제거

GRANT

REVOKE

TCL

(Transaction Control Language)

• DML에 의한 변경을 관리

COMMIT

ROLLBACK

SAVEPOINT


SQL 문장 작성법

  • SQL 문장은 대소문자를 구별하지 않는다.
  • SQL*Plus에서 SQL 문장은 SQL 프롬프트에 입력되며, 이후의 Line은 줄번호가 붙는다.
  • SQL 명령을 종료할 때는 세미콜론(;)을 반드시 붙여야 한다.
  • 맨 마지막 명령어 1개가 SQL buffer에 저장된다.
  • SQL 문장은 한 줄 이상일 수 있다.
  • SQL 명령어를 구성하고 있는 단어중 어디에서나 분리해도 된다.
  • 한 개의 line에 한 개의 절(select, from, where) 형태로 나누어 입력하는 것을 권한다.그러나 한 개의 단어를 두 줄로 나누어 입력해서는 안된다.
  • keyword는 대문자로 입력하도록 권한다.
  • 다른 모든 단어 즉, table 이름, column 이름은 소문자로 입력을 권한다.
  • keyword는 단축하거나 줄로 나누어 쓸 수 없다.
  • 절은 대개 줄을 나누어 쓰도고 권한다.
  • 탭과 줄 넣기는 읽기 쉽게 하기 위해 사용을 권한다.


+ Recent posts